1코스 배부른산길(6.3km / 2~3시간)
봉화산과 배부른산은 원주시청을 감싸고 있으며, 도심에서 가까워 주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등산로이기에 원주시민들에게 가장 사랑 받는 산이다. 거의 모든 구간이 숲길로 조성되어 있고, 곳곳에 쉼터가 마련되어 있어 걷기가 편하며, 송전탑에서 배부른산 방향으로 걷다보면 박건호 선생(원주출신 작사가→시인)의 6편의 시도 만날 수 있다. 코스의 하이라이트인 배부른산을 만나기 위해서는 124 개의 계단과 오르막 길을 거쳐 힘들게 올라가야 하지만, 배부른산 정상에 서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원주를 병풍처럼 둘러싼 치악산과 원주시내가 한눈에 들어와 장관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.
코스 | 원주시청 의회동 뒤 ➜ 만대정(0.3) ➜ 봉화정(0.6) ➜ 목계단(0.9) ➜ 둘레길표지판(담소길진입)(1.2) ➜ 능선합류(2.2) ➜ 도피탈출로(2.3) ➜ 송전탑(2.9) ➜ 벤치 쉼터(3.4) ➜ 도피탈출로(4.4) ➜ 오르막길 시작/계단(4.5) ➜ 배부른산 정상(4.8) ➜ 갈림길(5.4) ➜ 은행나무 보호수(6.1) ➜ 동아ST 원주지점(6.3) | |||
---|---|---|---|---|
코스정보 |
▶ 난이도 ●●● / 2~3시간 소요 ▶ 바위산이 포함되어 있는 능선 위주의 길이므로 경등산화나 트레킹화 권유 ▶ 오르막과 내리막길이 많고, 배부른산 정상 전 300m는 가파른 오르막이므로 등산스틱 지참 ▶ 코스 내 급수시설이 없으므로 식수와 간식을 필히 준비 |
|||
교통편 | 시점 |
▶ 시외·고속버스터미널 → 원주시청(백운아트홀) - 버스번호 : 6, 7, 8, 30, 90번 - 운행시간 : 05:50~22:00사이 수시 운행 ※ 원주시청(백운아트홀) 정류장에서 시작점까지 도보 5분 |
||
종점 |
▶ E-마트 버스정류장 → 시외·고속버스터미널 - 버스번호 : 8, 30, 90번 - 운행시간 : 06:00~20:55사이 수시 운행 ※ 종점에서 E-마트 정류장까지 도보 4분 |
|||
※ 원주시 교통정보센터 : http://its.wonju.go.kr/main/index.do 실시간 버스노선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(2020년 12월기준) | ||||
숙박 | 상호명 | 전화번호 | 상호명 | 전화번호 |
호텔비즈인 | 033)748-0100 | 호텔케이 | 033)812-3000 | |
※ 코스 인근 숙박시설 현황 | ||||
식당 | 상호명 | 전화번호 | 상호명 | 전화번호 |
고려원사랑채 | 033)763-3344 | 고려원 | 033)766-2233 | |
연희숯불구이 | 033)745-0657 | 만나닭갈비 | 033)735-7771 | |
자스민 | 033)743-3370 | 그램그램 (무실점) | 033)733-9292 | |
김치뚝딱 | 033)743-0775 |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| 033)766-6941 | |
부산횟집 | 033)746-4500 | 저팔계 (무실점) | 033)746-3398 | |
우담 | 033)745-7661 | 이화갈비 | 033)735-6258 | |
담채한정식 | 033)748-8897 | 산들우렁쌈밥 | 033)748-8827 | |
본래순대(원주무실점) | 033)734-5553 | 샤브향 | 033)732-2244 | |
돈우촌 | 033)743-9393 | 뉴욕바닷가재 (원주점) | 033)764-0007 | |
지박사막국수(무실점) | 033)743-0068 | 삼교리동치미막국수 | 033)761-7300 | |
운채 | 033)747-1994 | 명성 | 033)762-3380 | |
※ 원주보건소 제공 무실동 모범·향토(대표) 음식점 현황 | ||||
주변볼거리 | ![]() |
가마바우(감바우) 모양이 가마(조그만 집모양의 탈 것)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전에는 거북바위라고도 불렸다. 가마, 감 등은 ‘ㄱㆍㅁ’ 계통의 말로 주로 ‘크다’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, 가마바우가 있어 산 이름이 감박산이 되었고 봉화산과 배부른산의 중간에 있는 산으로, 호저면 만종리, 흥업면 사제리, 무실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. 위치는 송전탑에서 만종방향으로 100m거리에 있으며, 주변에 정성 들여 쌓은 돌탑들과 어우러져 있다. | ||
![]() |
배부른산(포복산) 원주시 무실동과 흥업면 경계에 위치한 산(419m) 으로 포복산 이라고도 하며, 예전에는 식악산(食岳山)이라고 불렀다. 1530년(중종 25)에 간행된 『신증동국여지승람』에는 식악산이 ‘주의 서쪽 15리에 있다.’고 쓰고 있다. 또한 산 지명이 옛날 원주에 홍수가 나면 문막 쪽의 배를 이 산에서 불렀던 데서 연유했다는 설과 산의 모양이 만삭의 임산부 배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. | |||
![]() |
박건호 공원 원주에서 태어난 박건호(1949~2007)는 70~80년대의 대표적 작사가로 수많은 노래를 만들었으며, 시인으로서 시집과 수필도 다수 출간하였다. 대표곡으로는 조용필<단발머리>, 이용<잊혀진 계절>, 박인희<모닥불>, 정수라<아 대한민국>, 나미<빙글빙글>, 소방차<그녀에게 전해주오> 등 모두 3,000여 곡의 작품을 남겼다. 박건호 공원은 2010년 12월 노랫말 비, 시 디딤돌 등으로 조성되었으며, 박건호가요제, 시낭송대회 등이 매년 열리고 있다. 원주시 무실동 1761-1 | |||
![]() |
원주한지테마파크 2010년 9월 개관하여 원주 한지의 역사와 유래는 물론 전시, 관람, 교육, 체험을 통해 한지에 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테마 공간이다. 테마파크 1층에는 종이의 발명과 전파과정, 한지의 역사, 한지의 유래와 제작 과정들을 엿볼 수 있는 한지 역사실이 있다. 2층은 한지 및 국내외 종이 관련 기획전이 열리는 공간이다. 체험행사로는 ‘한지 뜨기 체험’과 ‘한지공예 체험’을 할 수 있다. (이용시간 : 09:00~18:00) |